S43 견갑대의 관절인대 탈구 및 염좌
어깨 관절 주변 인대의 손상과 그 치료 방법에 대한 종합 가이드
정의
S43 코드는 국제질병분류(ICD-10)에서 견갑대(어깨 띠)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, 염좌 및 긴장을 의미합니다. 이는 어깨 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인대에 발생하는 손상으로, 어깨의 안정성과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견갑대(어깨 띠)의 해부학적 구조
견갑대는 쇄골, 견갑골(어깨뼈), 상완골로 구성되며, 이들 사이의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여러 인대가 있습니다. 이 인대들의 손상이 S43 분류에 해당합니다.
원인
견갑대 관절인대의 탈구와 염좌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:
- 갑작스러운 외상: 낙상, 교통사고, 스포츠 중 충격
- 반복적인 스트레스: 과도한 던지기 동작, 무거운 물건 들기
- 비정상적인 동작: 관절의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비틀림
-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: 인대의 탄력성 저하
- 선천적 관절 불안정성: 관절 구조의 선천적 이상
야구 투수, 테니스 선수, 수영 선수 등 상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운동선수들은 견갑대 인대 손상의 고위험군에 속합니다.
증상
견갑대 관절인대 손상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증상 | 설명 | 빈도 |
---|---|---|
통증 | 어깨 주변의 심한 통증, 특히 움직일 때 악화 | 95% 이상 |
부종 | 손상 부위의 붓기와 열감 | 80% |
관절 불안정성 | 어깨가 빠질 것 같은 느낌, 탈구 반복 경향 | 70% |
운동 제한 |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리는 동작의 제한 | 85% |
근력 약화 | 손상 부위 근육의 힘 감소 | 60% |
견갑대 인대 손상 시 나타나는 전형적인 어깨 통증 위치
진단
견갑대 관절인대 손상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합니다:
1. 신체 검사
- 관절의 가동 범위 평가
- 압통 부위 확인
- 특수 검사(예: 앤서리 테스트, 서케이션 테스트)
2. 영상 검사
- X선: 골절 또는 탈구 확인
- 초음파: 인대와 힘줄의 실시간 평가
- MRI: 연부 조직(인대, 힘줄, 연골)의 상세한 평가
- CT 스캔: 복잡한 골절 또는 관절 이상 평가
만성적인 어깨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, 의사는 관절경 검사를 통해 직접 관절 내부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.
치료
견갑대 관절인대 손상의 치료는 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.
보존적 치료
- 휴식과 활동 제한
- 냉찜질(초기 48-72시간)
- 소염진통제 복용
- 보조기(슬링) 착용
- 점진적인 물리치료
수술적 치료
- 관절경 수술: 미세한 절개로 인대 봉합
- 개방성 수술: 심한 손상 시 시행
- 인대 재건술: 심각한 불안정성 시
- 관절 고정술: 극심한 경우
재활 프로그램
- 통증 관리
- 관절 가동 범위 회복 운동
- 근력 강화 운동
- 프로프리오셉션(고유수용성) 훈련
- 점진적인 기능 회복
견갑대 인대 손상 후 재활을 위한 전형적인 어깨 운동
대부분의 경우 6-12주 내에 증상이 호전되지만, 완전한 기능 회복에는 3-6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. 수술이 필요한 경우 회복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.
예방
견갑대 관절인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:
일상 생활에서
- 올바른 자세 유지 (특히 컴퓨터 작업 시)
-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주의 (양손으로 고르게 들기)
- 낙상 방지를 위한 주의 (젖은 바닥, 계단 등)
운동 시
- 운동 전 충분한 준비 운동 (특히 어깨 관절)
- 점진적인 운동 강도 증가
- 어깨 근력 강화 운동 (로테이터 커프 훈련)
- 과도한 반복 동작 피하기
- 적절한 운동 기술 습득
어깨 관절의 유연성과 근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운동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. 요가나 필라테스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견갑대 인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어깨 강화 운동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11 결막의 장애: 원인, 증상, 진단 및 치료 가이드 (0) | 2025.04.22 |
---|---|
결막염: 눈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흔한 질환 (0) | 2025.04.22 |
건선성 장병성 관절병증: 원인, 증상 및 치료 방법 (0) | 2025.04.21 |
건선: 피부에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 (0) | 2025.04.21 |
거대세포바이러스병(CMV): 정의, 증상, 진단 및 관리 방법 (0) | 2025.04.20 |